SSD의 트림(TRIM) 기능이란? 그리고 적용 방법

트림(TRIM)은 SSD 디스크를 사용하면서 운영체제에서 삭제한 쓰레기 파일을 SSD 디스크 자체에서도 삭제시켜서 SSD가 사용하면서 느려지는 것을 개선해주는 기능이라고 한다.
정확한 건 모르겠고 (어차피 자세한 건 검색해보면 나온다.) 대략 내가 이해한 바로는 그렇다.

적용방법은 보통 SSD 제조사의 관리 프로그램이 있는데 거기서 트림을 설정해주면 된다.
나는 웨스턴 디지털의 SSD를 사용중이라서 WD SSD Dashboard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했는데 조금 이상했다.
TRIM기능을 활성화하고 자동 실행 주기를 설정해도 다시 확인해보면 그 기능이 꺼져 있었다.

그래서 윈도우10에서 지원하는 트림 기능을 사용하기로 했다.
다른 버전의 윈도우는 잘 모르겠는데, 윈도우10에서 드라이브 최적화를 하면 SSD 디스크는 조각모음이 아닌, 알아서 트림 기능이 적용된다고 한다. (SSD는 일반적인 조각모음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한다.)

적용 방법
탐색기에서 해당 SSD디스크 드라이브의 속성을 클릭한다.

도구/최적화를 클릭한다.

설정 변경을 클릭한다.

예약 실행을 활성화해주고 빈도는 매주로 해주는 것이 보통인 것 같다.
그리고 선택을 클릭해서 해당 SSD 디스크 드라이브를 선택해준다. (다른 일반 하드디스크도 최적화를 예약 실행해두면 좋은지는 잘 모르겠다. 시간도 오래 걸리고 별로 필요할 것 같지 않아서 SSD 디스크 드라이브만 선택했다.)

This entry was posted in 컴퓨터, 프로그램. Bookmark the permalink.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