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보완 20180327/
현재는 v3 lite를 사용중이다.
네이버 백신은 랜섬웨어 관련 이슈가 있더라.
알약과 어베스트가 상당히 성능이 좋다는 글들을 봤다. 난 너무 내 개인적이고 얕은 지식으로 글을 쓴 것 같기도 하다.
어쨌든 잘 모르는 내 입장에서 어베스트만 쓰기엔 불안하고, 두개 이상을 쓰자니 무거울 것 같고 알약도 가벼운 편은 아니라는 평이 많아서 v3 lite를 사용하기로 했다.
과거 글 시작/
참고로 난 그닥 컴을 잘 아는 사람은 아니다.
그런 나의 입장에서 경험을 통해서 내가 내린 결론.
즉 사용중인 백신 프로그램과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법들을 적어봤다.
네이버 백신
검색해보니까 국내 백신 프로그램은 다 거기서 거기라고 하는 것 같더라.
그냥 난 편하게 네이버백신만 쓰기로 했다.
V3는 자꾸 우측 하단에 이상한 광고 창이 떠서 짜증나서 버렸다. (설정에서 해제해도 자꾸 뜨더라.)
알약은 알집부터 해서 뭐 하나만 설치하면 이것저것 설치하라고 난리를 피워서 버렸다. (그리고 좀 무거웠던가?)
전에는 어베스트라는 프로그램도 써봤었다.
지금은 모르겠지만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버전이 있었고 성능이 좋다는 호평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용하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서 (좀 오래된 일이라 기억이 정확히는 안 나는데) 어떤 파일을 받아서 압축을 푸는데 갑자기 컴퓨터가 완전 이상해졌다.
크롬이나 익스플로러도 제대로 안 들어가졌던 것 같다.
그래서 안전모드를 통해서 스파이웨어와 바이러스를 제거해주는 프로그램들을 받아 설치해서 겨우 치료했던 기억이 난다. (뭔진 몰라도 엄청나게 걸려있더라. ㄷㄷ)
그때 네이버백신, V3, 알약 같은 프로그램으로 검사했더니 많이 나왔고 스파이웨어 잡는 전문 프로그램이라고 한국에서 만든 것 같은데 그걸로 검사했더니 또 엄청나게 나오더라. (그런데 이름이 뭔지 까먹었다. 뭐 워낙 오래전의 일이라 프로그램의 이름이 크게 의미가 있을 것 같진 않다.)
어쨌든 그래서 나는 어베스트는 사용을 안 하기로 했다.
더 나은 보안을 위해서는 다른 프로그램도 같이 사용해야 하는지 어쩐지는 모르겠으나 그런 것까지 더 알고 싶지 않았고 귀찮았다.
크롬
랜섬웨어가 유행할 때 국내 유명 커뮤니티를 통해서도 감염되는 사건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
그때 내가 걸리지 않을 수 있었던 이유는 해당 커뮤니티를 자주 이용하지 않았던 것도 있지만, 크롬을 사용했고(익스플로러 사용자들이 감염되었던 것으로 안다.), 윈도우10의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해줬기 때문인 것 같다.
크롬은 위험한 사이트는 걸러주고 여러모로 익스플로러 보다는 보안이 좋은 것 같다.
그리고 로그인하면 어디서든 북마크(즐겨찾기), 확장 프로그램이 동기화되기 때문에 그 편리함 때문에라도 버릴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