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생각하는 AI 관련 미래의 직업, 일자리에 대한 예상


챗gpt의 상상초월 수준…앞으로 이거 할 줄 모르면 먹고살기 힘들 거 같네요

위의 영상을 보고 내 생각을 말해보려고 한다.

화려한 이미지를 그리거나 고퀄리티의 영상을 만드는 것, 기존 정보를 잘 정리하고 멋드러지게 꾸미고 가공하는 기술자? 그런 부분에서는 확실히 ai가 세상을 바꿀 것 같다. 관련된 ai 기술을 배워서 활용하지 않으면 효율에서 따라갈 수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또 생각해보면 나만의 엄청난 손기술과 창의력이 있다면, ai 관련 활용 기술은 배우면 그만 아닌가? 그런 것을 배우고 사용하는 방법이 점점 더 쉽고 단순화되고 있잖아. 앞으로 더욱 체계화 될 것이고 말이야.

사실 적절하게 명령어를 입력하는 센스도 어떻게 보면 타고난 재능이거든. 그것을 따라하려고 한다고 따라할 수 있을까? 난 못 따라간다고 생각해.

그러니까 ai 명령어에 최적화된 사람들은 그것을 파고들어서 성공하겠지만, 그게 아닌 사람들은 보편적으로 정해진 ai 기술을 활용하는 것에 그칠거라는 거야.

결국 지금 ai를 잘 다루려고 명령어를 공부하고 노력하기보다는 나만의 고유한 재능과 새로운 가치에 대해서 고민하는게 더 중요한 것 같다는 거야. ai는 활용하는 도구에 불과하다는 거야.

하지만 그 도구가 기존의 도구보다 너무나도 뛰어나기 때문에 인간이 기존에 해오던 대부분의 것을 해줄 수 있거든. 그러니까 필수적이긴 할거야.

.

.

ai로 제작된 글이나 이미지나 영상을 보는 것에 사람들은 곧 실증을 느끼게 될 것 같아. 잘 꾸미고 잘 정리하긴 하지만 새로운 것은 아니거든.

결국 그 모든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은 인간이니까. 그냥 ai를 이용해서 막 생산해낸다고, 물량공세를 한다고 해서 그걸 생각없이 봐줄 사람은 많지 않을 거라는 거야.

ai로 만든 것이 “와 정말 예쁘다. 와 정말 잘 정리한다.”라는 감탄까지는 나오는데 감동이나 웃음을 주는 정도까지는 안 나온다고 생각해. 그러니까 뛰어난 감각을 가지고 있어야 성공할 수 있는 것은 미래에도 마찬가지일 것 같아.

또한 기존의 것들을 잘 전달하는 것이 아니고, 검색으로는 나오지 않는 지극히 개인적이고 새로운 것들을 더 찾게 되지 않을까? 결국 기존의 수많은 정보들 중에서 사람들이 원할만한 것을 선별해달라고 ai에게 부탁하면 참고할 정도는 되겠지만 그것을 그대로 콘텐츠로 제작했을 때 제대로 된 것이 나오진 않을 거야.

.

.

버츄얼 스트리머가 이미 상당히 대중화된 것만 봐도 앞으로는 훨씬 더 버츄얼 스트리머 같은 가상 캐릭터가 보편화될거라고 생각해.

사실 나는 버츄얼 스트리머 별로야. 거부감이라고 할까? 그런게 있거든. 자연스럽지도 않아 보이고 말이야.

하지만 어릴 때부터 그런 콘텐츠를 본 사람들은 완전히 다르겠지. 그러니까 버츄얼 스트리머 시장이 앞으로 더 성장할 것이냐 아니냐 이런 말은 할 필요도 없다는 거야.

실제 사람이 나오는 콘텐츠가 사라진다거나 하진 않겠지. 하지만 재미있고 좋은 정보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엄청나게 예쁘고 귀엽고 잘생기고 아름다운 캐릭터인게 더 좋잖아?

만드는 입장에서도 매번 화장하고 새로 옷을 사고 예쁘게 꾸미기보다는 가상 캐릭터가 훨씬 편하겠지. 또한 내 얼굴을 공개하는게 부담스러워서 포기한 사람들이 콘텐츠 시장에 뛰어든다면 훨씬 더 다양하고 고품질의 콘텐츠가 생산될 수 있다고 생각해. (부정적인 콘텐츠도 더 늘어나려나?)

그러니까 뛰어난 외모의 가치가 사라지진 않겠지만, 외모가 뛰어나지 않아도 성공할 수 있는 강력한 길이 생겼다는 거야.

.

.

이미 노아AI 유튜브 표절 사건도 있었던만큼 생각없이 ai를 활용해서 마구잡이로 콘텐츠를 생산한다거나 표절하는 것은 문제가 발생할 거야. 결국은 ai를 이용해도 사람들이 가치있게 느낄만한 콘텐츠를 생산해야 한다는 점은 달라지지 않아.

그런데 내 불만은 나처럼 블로그에 후기나 팁을 가볍게 쓰는 경우에는 챗gpt같은게 긁어가면 내가 쓴 글의 정보는 빼가면서도 내가 쓴 것보다 훨씬 매끈하게 잘 정리해서 표현할 것 아니냐고… 그러면 뭐하러 내 블로그에 와서 글을 보겠어…

그러니까 나는 사소하더라도 기존에 없던 정보 같은 완벽하게 새로운 가치만을 추구하거든. 그런데 그것을 빙ai 같은게 멋대로 퍼간다니까? 이게 뭐냐고… 표절인데 표절이라고 말하기도 애매한 사소한 정보니까 따지기도 애매하잖아…

.

.

어쨌든 포토샵 같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못하면 그림을 그리거나 이미지를 편집하는 시간이 훨씬 늘어나는 것처럼, ai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안 되는 세상이 올거라고 생각해. (그런데 또 생각해보면 그러다가 그게 고장하면 어떻게 되는 걸까? 진짜 사람들 다 바보되는거 아니야?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엄청나게 의지하는 분야는 있을 수 있잖아. 지금도 인터넷만 끊겨도 음식점 결제니 뭐니 제대로 할 수 있는게 없는 것처럼 말이야. 뭐 어쩔 수 없는 부분이겠지.)

누군가는 포토샵의 필터나 기능을 정말 잘 이용해서 아주 쉽고 빠르게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것처럼, ai를 잘 다루는 사람은 다루지 못하는 사람보다 엄청난 강점이 있을 거야.

하지만 나는 포토샵을 어느정도 잘 다루면서도 필터나 그런 부분에서는 머리가 안 돌아가. 나는 포토샵의 기본적인 툴을 능숙하게 다뤄서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그림을 더 빠르고 더 내가 원하는대로 표현하는 것에 활용하거든.

그러니까 나처럼 제한적으로 포토샵을 사용하듯이, ai를 제한적으로 활용하는 사람도 많을 거야. 물론 전혀 사용하지 않는 사람도 성공할 수 있겠지만, 보편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도구가 되는 것은 분명하다는 거야.

.

.

기존의 창작자나 기획자는 창작이나 기획에 더욱 집중해서 강점을 살리려고 노력해야 할 것 같고, 포토샵 필터를 잘 활용하는 것처럼 기존의 기술을 잘 응용하던 기술자는 ai 기술도 빨리 배워서 기술의 폭을 넓히면 좋지 않을까?

핵심은 ai를 활용하면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다는 거야. ai를 활용하는 사람이 될지, ai에게 일자리를 뺏기는 사람이 될지는 오직 개인의 능력에 달렸어.

그러니까 내가 무엇인가를 하고 싶을 때 다른 사람의 도움보다는 ai의 도움을 받는게 나은 세상이 온다는 거야. 결국 내가 회사나 남에게 어떻게 쓰일 것인가가 아닌 내가 주도적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에 집중해야 하는 것 같아.

예를 들어 회사는 당연히 돈을 아끼기 위해서 ai를 활용할 것이고 직원을 줄일 거야. 그러면 1인 창업자나 자영업자, 또는 프리랜서가 훨씬 늘어나게 되려나?

This entry was posted in 철학, 사회, 컴퓨터, 프로그램, 힣) 그 외, 팁. Bookmark the permalink.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