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의 억지 논리에 대한 비판
페미니즘은 원래 성차별을 극복하고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공정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운동이었다. 그러나 최근 일부 극단적인 논리와 주장들이 오히려 다수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반감을 키우는 결과를 낳고 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여성의 화장이나 외모 꾸밈을 남성 탓으로 돌리는 억지 논리다.
여성이 화장을 하는 이유, 정말 남성 때문일까?
“여성이 남성 때문에 화장을 하고 외모를 꾸민다”는 주장은 과연 타당한가?
그 논리를 뒤집어 보면, 남성도 여성 때문에 열심히 일하고 운동해서 근육을 키우는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논리는 지나치게 단순화된 시각일 뿐이다.
이를 떡볶이로 비유해 보자. 내가 떡볶이를 좋아하는 이유가 어릴 때 부모님이 나에게 떡볶이를 먹이고 “이건 정말 맛있어!”라고 가스라이팅했기 때문이라는 말과 다르지 않다. 또는 여성들이 핑크색을 좋아하는 이유를 “사회가 여성에게 핑크를 강요했기 때문”이라고 단정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이런 주장들은 너무 단순화되어 있을 뿐 아니라, 모든 행동을 외부 요인에만 귀속시키려는 억지스러운 해석이다.
모든 행동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
여성이 화장을 하고 외모를 꾸미는 이유는 다양하다.
- 어릴 때부터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아서 그럴 수도 있다.
- 한 번 해보니 화장이 즐겁고 자신감이 생겨 좋아서일 수도 있다.
- 남자나 주변 사람들에게 더 예뻐 보이면 자신에게 이익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특정 행동에는 여러 가지 이유와 동기가 공존한다. 단순히 “남성 때문”이라는 하나의 요인으로 모든 것을 해석하려는 시각이 문제다. 세상의 다양한 행동에는 복합적인 이유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페미니즘이 공감을 잃은 이유
현재 일부 페미니즘은 이 세상의 모든 문제를 남성의 탓으로 돌리고, 여성이 피해받고 있다는 프레임으로 억지 해석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이 바로 페미니즘이 다수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오히려 거부감을 키운 핵심 이유다.
예를 들어, 남성과 여성의 월급 차이는 명백한 차별이며, 이는 문제로 삼아야 할 중요한 사안이다. 그러나 정작 이런 실질적 차별에 집중하기보다, 헛소리에 가까운 주장을 앞세우니 많은 사람들이 페미니즘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게 된 것이다.
본질에 집중해야 한다
페미니즘의 목표는 남성과 여성이 공정한 기회를 얻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억지 논리가 아니라 실질적인 차별과 불공정에 집중해야 한다. 화장이나 색깔 선호 같은 사소한 문제를 남성 탓으로 돌리기보다, 진짜로 개선이 필요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에너지를 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