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쾌한 골짜기 이론이 불쾌한 이유

구글 번역 : 영어

불쾌한 골짜기 이론이란?
로봇이 점점 더 사람의 모습과 흡사해질 수록 인간이 로봇에 대해 느끼는 호감도가 증가하다가 어느 정도에 도달하게 되면 갑자기 강한 거부감으로 바뀌게 된다. 그러나 로봇의 외모와 행동이 인간과 거의 구별이 불가능할 정도가 되면 호감도는 다시 증가하여 인간이 인간에 대해 느끼는 감정의 수준까지 접근하게 된다. (위키백과)

폴라 익스프레스의 한 장면(폴라 익스프레스의 한 장면)

내가 이해한 바로는 로봇이 인간을 비슷하게 흉내내면 인간은 그것을 일종의 위협으로 받아들이고 본능적으로 불쾌감을 느낀다는 것이다.
그러다가 너무 똑같아지면 구분을 못해서 인간처럼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비판의 내용
몇몇 로봇공학자들은 인간과 비슷한 로봇이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것은 최근의 일이므로 모리의 그래프 중 가장 오른쪽 부분은 근거가 없다며 이 이론을 심하게 비판하고 있다. 자신의 여자친구를 닮은 로봇 머리를 개발한 데이비드 핸슨은 불쾌한 골짜기에 대해 “완전히 사이비 과학이지만, 사람들은 그것을 과학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카네기 멜론 대학의 연구원인 사라 키슬러(Sara Kiesler)는 불쾌한 골짜기의 과학적 위치에 대해 의문을 던지면서 “우리는 불쾌한 골짜기가 참이라는 증거를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참이 아니라는 증거도 가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위키백과)

내 생각에 이 이론은 한마디로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다.
어떤 이미지든 불쾌하다고 느끼면 “불쾌한 골짜기 지점에 포함되기 때문”이라고 말하면 되고 불쾌함을 느끼지 않으면 “인간과 전혀 비슷하지 않거나 너무 비슷한 불쾌한 골짜기가 아닌 지점이기 때문”이라고 말하면 된다.
한마디로 불쾌하고 불쾌하지 않고와 인간과의 유사성의 정도가 비례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모호한 논리로 모든 이유가 인간과의 유사성 때문이라고 착각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불쾌한 골짜기 부적절한 예제 이미지

위의 이미지는 불쾌한 골짜기를 검색하면 나오는 이미지 중에 일부이다.
사실 첫번째 사진을 제외하면 인간이랑 비슷하다고 보기에도 어렵지 않은가?
그저 거부감이 드는 이미지일 뿐이다.

두번째 레고와 세번째 소닉은 인간과 흡사하다기보다는 단지 그림의 밀도가 높아졌을 뿐이다.
착각하기 쉬운데 밀도가 높아지는 것과 인간의 얼굴과 흡사하다는 것은 다르다.

불쾌한 골짜기 이론은 너무 모호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잘못 남용하는 경우가 너무 많다.
그냥 불쾌하고 부자연스러운 이미지만 보면 다 불쾌한 골짜기를 언급한다.

영화 알리타 얼굴 나오는 스크린샷

위의 이미지는 영화 알리타의 한 장면이다.
여기서도 불쾌한 골짜기를 자주 언급하곤 하는데 내가 보기엔 그냥 눈이 커서 이상하게 보이는게 더 근본적이고 구체적인 지적이다.

포토샵으로 눈 크기를 줄여봤다. (좌측 원본, 우측 눈 크기만 줄임)

(1초마다 바뀌는 GIF 이미지)

눈을 줄이니까 훨씬 자연스럽지 않은가?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인간이 위의 그림을 보고 부자연스러움, 불쾌함을 느끼는 이유는 “눈이 너무 커서”라고 하면 될 것을 “인간과 비슷하면서도 완전히 같지는 않은 불쾌한 골짜기에 포함되기 때문이고 눈이 너무 큰 것도 그 안에 포함된다”라고 말할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그런식의 접근은 문제를 해결하는 길의 방향을 삥 돌아서 가게 하거나 아예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 수도 있다.

또한 불쾌한 골짜기 이론의 막연함 때문에 어떤 캐릭터를 보고 불쾌함을 느끼는 진짜 원인은 다른 것일 수 있는데 불쾌한 골짜기 때문이라는 막연한 결론을 내려버리고 진짜 구체적 원인에 대해서는 고민이나 생각을 하지 않고 넘어가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간은 오랜 세대를 걸치면서 본능적으로 상하거나 해로운 음식의 냄새를 고약하게 받아들이고 신선한 음식 냄새를 향기롭게 받아들이도록 진화했다는 이론? 가설이 있다.
그 생각은 나름 설득력이 있고 재미있고 신선하다.
하지만 냄새가 좋거나 없으면서 유독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그 이론을 현실의 모든 상황에 적용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불쾌한 골짜기 이론도 마찬가지로 신선하긴 하지만 아주 단편적인 시각? 가설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불쾌한 골짜기 이론을 증명하려면 어떤 실험을 해야 할까?
특정한 이미지나 캐릭터가 인간과 얼마나 유사한지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을까?
나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불쾌한 골짜기 이론은 검증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니까 어떤 캐릭터를 보고 불쾌함을 느껴졌을 때 모든 원인이 인간과의 유사성의 정도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억지스럽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특정 부분에서 인간과의 유사성의 정도가 불쾌함과 연관이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볼 수는 있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서 불쾌한 골짜기 이론은 가볍게 생각해볼 수 있는 가설일 뿐이고 그 이상으로 파고드는 것은 낭비라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문제의 원인을 찾고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을 찾아보다가 그중에 하나로 불쾌한 골짜기 이론을 참고해보는 것 정도가 최선이라는 것이다.

This entry was posted in 그 외, 미분류 and tagged . Bookmark the permalink.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