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24 저렴한 웹호스팅 무료 SSL 적용 방법 (수동 90일, ZeroSSL)

카페24에 워드프레스 전용 웹호스팅 서비스가 생겼다.
직접 써보진 않았지만 무료 SSL을 자동으로 연장시켜주기 때문에 정말 편할 것 같다.
하지만 FTP 접속불가라는 단점이 있다.

웹툰 캐릭터 표정
아 거 너무하네!
기왕 해주는거 FTP 접속도 좀 하게 해주지!
(한달 500원 내면서 바라는게 너무 많음)

메인 화면에서 특정한 카테고리의 글을 숨긴다거나 소소하게 php 파일에 손을 댄 부분들이 있고 플러그인도 (내가 몰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FTP로 들어가서 코드를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워드프레스 전용 서비스로 갈아타는 결정을 하기가 쉽지 않았다.

기존처럼 유료 SSL을 하자니 가격도 오르고 1년에 한 번이라고 해도 해외 사이트에서 SSL 신청하는게 편하지도 않았다.

웹툰 캐릭터 표정
물가가 진짜 미쳤어…

국내의 저렴한 SSL 서비스는 테스트용으로 무료로 한 번 해봤는데 제대로 안 됐었다.

그래서 오랜 기간 고민을 하다가 일단 무료 90일 서비스를 한 번 시도해보기로 했다.
그런데 가장 유명한 https://letsencrypt.org/는 어떻게 하는 건지 도저히 방법을 모르겠더라.
Certbot을 이용해서 자동 연장이 가능하다는데 저렴한 카페24 웹호스팅에서는 Certbot이 안 되는 것 같다.
그래서 자동 연장은 기대도 안 하는데 수동으로 하는 것도 어떻게 하는 건지 모르겠더라.

그래서 다른 곳을 알아보다가 https://www.sslforfree.com/라는 곳을 알게 됐다.
이곳은 웹으로 가입이나 적용이 가능하고 방법도 매우 간단했다.

웹툰 캐릭터 표정
내가 찾던게 바로 이거라구!

이 글에서는 sslforfree를 통해서 카페24의 저렴한 웹호스팅 서비스에서 90일 무료 SSL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해보려고 한다.
(참고사항 90일 무료 서비스가 계속 무한 연장이 되는 줄 알았는데 3번 까지만 가능하다고 한다.)

방법은 정말 간단하다.
내가 느끼기에 한 번 하는데 1분 정도 걸리는 것 같다.
그러니까 1년에 4번, 그러니까 1년에 총 4분 정도만 투자하면 된다는 것이다.

https://www.sslforfree.com/에 가입(한 계정당 하나만 무료인 것 같다. 도메인이 두개면 계정도 두개 만들어야 하는 것 같다.)을 하고 “New Certificate”를 누른다.
SSL을 적용하려는 도메인 주소를 입력한다.
그리고 계속 그냥 “Next Step →”를 클릭해주면 된다. (굳이 설명을 하자면 90일 버전 선택, 애드온 전부 비활성화, CSR 정보 자동으로 입력, 무료 버전 선택)

도메인 인증을 해야 하는데 다른 것은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귀찮은 것 같다.
나는 DNS(CNAME)를 추천한다.
빨간 줄 친 저 부분들을 붙여넣어주면 된다. (아래에서 설명)

카페24 “나의서비스관리 → 호스팅관리 → 기본관리 → 서비스 사용현황” 하단에 “도메인 네임서버(DNS)관리” 클릭

도메인 선택하고 “DNS 관리” 클릭

“별칭(CNAME)관리” 클릭하면 뜨는 화면에 아까 빨간 줄 친 부분들을 순서대로 넣어주면 된다.
그러면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될 것이다.
그 이후 “Install”에 “Download Certificate”를 클릭하면 압축 파일을 하나 다운받을 수 있는데 압축 파일을 풀면 세개의 파일이 표시될 것이다.

카페24 “나의서비스관리 → 인증서관리 → 외부인증서 관리”에 들어간다.
하단에 “인증서(SSL CRT)(1)”에는 “certificate.crt”를 메모장으로 열었을 때 뜨는 내용을 붙여넣어준다.
그리고 밑에 “인증서 확인”을 클릭한다.
정상적으로 확인이 되면 “개인키(private.key)(2)” 부분에 “private.key” 파일의 내용을 붙여넣어준다.
마지막으로 “신청하기” 클릭

연장하는 방법

14일 후에 만료된다는 메일이 오면 사이트에 들어가서

우측에 “Renew”를 클릭한다.

기존에 했던 것처럼 “Next Step →”을 반복적으로 눌러주고 DNS(CNAME)로 인증해주고 카페24의 외부인증서로 등록해주면 된다.
DNS(CNAME)도 매번 새로 해야 하는 것 같다.
그게 귀찮은 것 같아서 이메일이나 다른 인증 방법을 다시 시도해봤는데 역시 제대로 되지 않았다. (또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가장 빠르고 깔끔한게 DNS(CNAME) 인증인듯.)
(참고사항 90일 무료 서비스가 계속 무한 연장이 되는 줄 알았는데 3번 까지만 가능하다고 한다.)

This entry was posted in 컴퓨터, 프로그램. Bookmark the permalink.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