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을 시작하고 1년 정도 지나니까 몸 상태가 안 좋아지기 시작했다. 그때 내가 겪었던 증상은 이랬다.
- 식은땀이 나고 너무 덥거나 춥게 느껴졌다.
- 숨쉬기가 힘들고 숨이 가쁘게 느껴졌다.
- 몸은 피곤한데 잠을 오래 못 자서 항상 피곤했다.
- 명치 쪽에 통증이 있었고 불편함이 느껴졌다.
- 정신적으로 혼란스러웠고 자주 어지러웠다.
- 기침이 나왔고 심장이 두근거리는 증상이 계속 반복되었다.
- 위장이 심장이 두근듯이 반복적으로 경련을 일으켰다.
- 식욕이 없었고 가슴이 아픈 느낌이 들었다.
- 설사를 자주 했고, 위장이 불편했다.
- 몸이 안 좋아지면서 정신적으로도 많이 약해졌다.
나는 처음에 채식을 하니까 칼륨 섭취를 너무 많이 해서 그런 줄 알았다.
하지만 지금 생각하면 모든 원인은 꾸준한 설사, 또는 묽은 변 때문이었던 것 같다.
생채식과 소화 문제, 전해질 불균형을 해결하는 방법
생채소는 영양소가 풍부하고 건강에 좋지만, 소화가 원활하지 않거나 장이 민감한 경우 설사나 묽은 변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심장과 호흡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설사로 인해 나트륨과 같은 중요한 전해질이 체내에서 빠져나가면서 몸에 필요한 균형이 깨지기 때문이다.
채소는 익혀서 먹는 것이 더 안전
소화가 원래 좋지 않거나 민감한 사람이라면 채소를 익혀서 먹는 것이 더 좋다. 익힌 채소는 소화가 더 쉬운 형태로 변하며, 위와 장에 미치는 자극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매운 음식이나 찬, 짠 음식을 피해주는 것이 좋다. 이러한 자극적인 음식은 소화를 방해하고 장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저포드맵 식단
나 같은 경우는 과민성 대장증후군 증상과도 비슷했던 것 같다. 그럴 때 위와 장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서 저포드맵 식단을 시도해보는 것도 좋을 수 있다. 소화가 잘 안 되고 속이 더부룩할 때, 위 문제만 생각할 수 있지만 장 문제일 수도 있다. 특히, 과민성 대장증후군(IBS) 같은 장 질환이 원인일 수 있다. 저포드맵 식단은 소화가 어려운 탄수화물들을 피하는 식이요법으로, 장을 편안하게 해주고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장 문제로 인한 불편함이 있다면, 저포드맵 식단을 시도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전해질 불균형 해결법: 따뜻한 소금물
전해질 불균형이 생기면 따뜻한 0.9% 소금물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소금물은 체내 나트륨을 보충해주어 혈압을 안정시키고, 전해질 균형을 맞춰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소화가 잘 안 될 때도 따뜻한 소금물이 소화에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개인적으로는 식사 중이나 후에 소금물을 조금 마시면 소화가 잘 되는 느낌을 받았다.
결론
채식은 건강에 많은 이점을 가져다주지만, 채소와 같은 생식물의 과도한 섭취는 소화 불량이나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려면 채소를 익혀 먹고,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