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컷읽기 – 나는 고유하지 않다, 죽음을 덜 두렵게 느끼는 방법, 영생의 의미

식물은 가지를 잘라서 번식할 수 있고 그것들은 모두 같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플라나리아도 그렇지.)
식물은 “고유한 단 하나의 나”라는 개념이 없다는 거야. (그렇게 인간과 너무나도 다른 개념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식물을 먹는게 죄책감이 덜한 것 같아.)

나는 다를까?
나는 내가 시간에 따라 분리된다고 생각해.
단 하나의 나라는 존재는 없다는 거야. (내가 절대적으로 고유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지금 당장 이 세상을 바라보고 인식하고 자각하는 내 안의 존재 뿐이야.)

그런데 사실 나는 내가 시간에 따라 분리된다고 안 느끼잖아?
시간에 따라 분리된다는 것은 객관적인 관점이고, 단 하나의 내가 시간을 살아가고 있다는 것은 주관적인 관점이야.
그저 관점이 다를 뿐, 둘다 틀리지 않았다고 생각해.

후자의 관점에서는 죽음이 두려울 수밖에 없어.
고유한 내가 영원히 사라지는 거니까.
나는 죽는 순간의 두려움을 느끼기 싫어.
종교의 장점 중에 하나가 죽음의 두려움을 덜 느낄 수 있다는 부분 같아.
종교에서는 사후세계가 존재한다고 말하니까.

하지만 나는 종교를 믿지 않고, 그들이 모인 천국이라는 곳에 가고 싶지도 않아.
나는 나만의 생각, 상상으로 죽음의 공포를 덜 느낄 거야.
앞으로 그런 이야기들을 해볼 생각이야.

뇌를 젊은 육체로 옮기거나 디지털 세상으로 이주하는 것도 어떤 관점으로 보느냐의 차이인 거야.
내가 그것이 의미있다고 여기면 진짜 내가 옮겨간 것이 되고, 의미가 없다고 여기면 그건 내가 아닌 거야.

앞에 얘기했듯이 내가 시간에 따라 분리된다는 관점으로 바라보면 오래 사는 것은 아무 의미 없어.
하지만 주관적 관점으로 보면 사후세계를 믿는 것처럼 죽음의 공포를 영원히 안 느낄 수 있어.

검색어

This entry was posted in 2 한컷읽기. Bookmark the permalin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