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인기 글 Top 10
- VR 영상 파일을 PC(2D)로 보는 방법 (팟플레이어)
- 웹툰 사이트 링크 모음
- 오래된 토렌트 파일을 받을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픽팍
- 초간편 냉동 만두 전자레인지로 맛있게 데우기
- 윈도우10 cpu잡아먹는 “microsoft 소프트웨어 보호 플랫폼 서비스” 확실한 해결 방법!
- 팟플레이어 나의 설정 파일과 백업, 복구 방법 (+ 자막에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때)
-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 링크 모음 총정리
- 고투핼! – 자살해도 돼, 삶은 허무한 거 맞아
- 해외 프리미엄 웹하드 파일 무료 다운 생성기 링크 모음
- 팟플레이어 .wmv 재생하면 Alert 메세지 오류 창 뜨는 문제 해결방법
카테고리
- 그 외, 미분류 (59)
- 웹툰, 그림 (122)
- 고투핼! (17)
- 단편, 그림, 콘티, 미완성 등등 (61)
- 자살소년 (49)
- 잡담 (544)
- 철학, 사회 (162)
- 팁, 리뷰 등등 (268)
- 리뷰, 후기, 제품 추천 (75)
- 블로그, 워드프레스, HTML (37)
- 유용한 링크 모음 (26)
- 컴퓨터, 프로그램 (59)
- 포토샵, 그림, 웹툰 팁 (15)
- 힣) 그 외, 팁 (80)
보관함
이메일 주소
메타
Author Archives: gryeo
물건도 그렇고 소재도 그렇고 메세지도 그렇고 버리기보다는 그냥 언젠가 쓸일이 있을거라고 생각하고 놔두는 성격이야. 그게 나쁘다고는 생각하지 않아. 그런데 그 성향과 비슷한 느낌으로 실패가 두려워서 무엇을 하다가 자꾸 멈추고 다른 것을 시도하고 생각해. 도망치는 것이고 회피하는 것이지. 내 특성을 완전히 부정하고 하나에 올인하자! 라고 생각하면 안 돼. 그건 내가 잘할 수 있는 방식이 아니야. 그저 너무 잡다하고 너무 사소한 것까지 쟁여두려고 하고 버리지 못하니까 정작 중요한 것을 제대로 완성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야. 그러니까 어느정도 손에 잡힐 정도의 알맹이, 의미가 있는 정도까지의 달성, 완성은 필요하다는 거야. 예를 들어 스토리를 메모해둔다면 그냥 당장 떠오른 소재, 단어만 써놓으면 나중에 그게 무슨 느낌이었는지 다 … 더 보기
위해주고 그렇게 따라주길 바라기보다는 정말 필요한 때에 도와주고 도움을 받기도 하고 그러는 것이지 의외의 곳에서 도움을 줄수도 받을 수도 있어 그러니까 민폐 끼치는 거 싫어하고 부탁하는 거 싫어하고 남이 부탁하는 거 들어주는 것도 싫어해 그 특성을 인정해주면서 서로의 특징을 이해하면서 어우러져야 한다고 생각해
예전에는 나를 다그쳐봤었는데 암에 걸렸다가 나은 이후에는 나를 엄청나게 달래면서 살아가고 있는 것 같아 포기는 안 할 건데 모든 장애물을 다 피하면서 천천히 먼 길을 돌아서 가고 있다랄까? (급할수록 돌아가라랑 비슷한 의미겠지.) 그리고 예전에는 마음이 편한게 제일이라면서 몸이 힘들어도 농땡이 안 피우려고 했었다면 요즘에는 몸도 더 이기적으로 챙기려고 해 ···. 돌아서 가자. 그래 위험해 보인다. ···. 돌아서 가자. 이정도면 건널 수 있을 것 같은데? 가다가 포기하는 것 보다는 돌아서 가는게 낫잖아?
애초에 의미가 있어야 한다 어떤 액션씬을 위해 이유를 만들어야 한다는 전제 자체가 엄밀히 말해 틀렸다는 것이다 근본적인 원인과 의도가 있어서 그것을 풀어내기 위한 용도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존윅이 후속작에서 더 재미있지 못했던 원인이 나는 존윅이 완성된 캐릭터라서 그런건 아닌 것 같다 더 강력한 적, 라이벌이 없었기 때문이 아닐까? / 개그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후속작에서 개그 자체도 중요하지만 기존보다 비중이 강한 새로운 캐릭터 같은게 있어야 할 것이다. 또는 전환점이 되는 완전한 새로운 상황이나 설정 말이다 (완전 다른 장르가 된 것 같은 느낌으로)
누군가는 “이 소스를 가지고 여기에 써먹어야겠다.” 이렇게 생각하면서 잘 꾸며. 응용력이 좋다고 해야 하나? 포토샵이나 유튜브 영상 만들 때 이팩트나 음악 소스를 사용할 때 그런 것을 잘 하거든. 그러니까 소스를 잘 이용한다고 말할 수도 있지만 애초에 디자인을 더 잘 꾸미려고 노력하는 관점이 있다는 거야. 그런데 난 해보려고 했는데도 진짜 못하겠어. 머리가 안 돌아가. 결과물도 개같이 나오고… 그림에서도 그랬었어. 여기에 이것을 넣고 저기에 이것을 넣어서 허전하지 않게 해야겠다. 라고 생각을 못했어. 꾸미려고 하는 것은 아무리 하려고 해도 못했었어. 스토리도 마찬가지인 것 같아. 어떻게 보면 스토리도 풍성하게 에피소드를 꾸민다는 개념이거든. 난 그래서 되도록 주제만 강하고 짧게 단편을 하려고 하는 거야. 스토리도 그렇고 … 더 보기
어떤 때는 세상 참 허무하고 별것 아니라는 생각이 들면서 좀 더 내가 뭐하러 이렇게 쫓기듯 살고 있나라는 생각이 들때가 있어. 더 가치있게 생각하는 것을 하면서 살자, 편하게 살자는 생각을 해. 그런데 그렇게 살기에는 내 삶이 너무 초라한 거야. 그리고 어차피 사람은 무엇인가에 감정이입을 해서 열심히 살아가는게 행복한거 아닐까? 이렇게 사는게 맞는 건가? 그런 생각이 들 때도 많아. 고민이 없고 생각이 없으면 그게 인간이겠냐? 하지만 너무 불확실하니까 이게 맞나 싶은 거야. 행복이라는게 뭘까? 나는 전에는 행복이라는 것을 기분이 많이 좋은 상태라고 생각했었어. 지금 생각해보면 어떤 것에 얽메이지 않는 떳떳함이 아닐까? 편하게 쉬고 열심히 일하고 힘들 때도 있고 그렇게 여러가지 변화를 거치면서 … 더 보기
모르는 것을 괜히 이리저리 굴리면서 길게 말하면 그건 진짜 최악이다. 내가 정확히 아는 부분만 확실하게 선을 정해서 말해야만 설득력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내가 모르는 부분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테니까. – 전에 했던 실수 중에 하나가 내가 잘 모르는 것까지 말하려고 했던 것이다. 뭐 웹툰 강좌라거나 자살소년에서 자살하려는 사람의 심정을 억지로 묘사하려고 한다거나… 모르는 건 모른다는 것을 인정해야지 내가 아는 부분이 더 의미있어질 수 있다. 내가 아는 부분이 별로 없고 의미가 없으면 글을 안 쓰는게 맞는 것이고 정말 그부분에 대해서 말하고 싶다면 열심히 공부하고 조사해서 내가 아는 것, 정말 내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 기획도 똑같다. 내가 … 더 보기
아주 짧은 상황을 만화처럼 표현할 수도 있고 그냥 삽화처럼 한장 딸랑 올릴 수도 있어. 또는 그러고 싶을 때는 일러스트처럼 신경을 쓸수도 있겠지. 그리고 도트 느낌으로 그릴 것이지만 핵심은 도트를 살리는게 아니야. 1대 1 비율의 그림이 수정이 쉽고 나에게 맞다는 것이 핵심이야. 그러니까 리퀴파이로 수정하거나 자유변형을 할수도 있는데 굳이 도트를 너무 살리려고 애쓸 필요는 없다는 거야. 도트나 깔끔함에 집착하지마! 흐리고 번져도 돼! 그렇다고 이렇게까지 할 필요는…
안녕하세요. 위의 화면처럼 구현하려면 <div style=”height: 300px; background-color: #aaa; width:100%; display:table;”><div style=”text-align:center; display: table-cell; vertical-align: middle;”>안녕하세요.</div></div> 위 코드처럼 스타일 값을 주면 된다. <style> .test { height: 200px; background-color: #aaa; width:100%; display:table; } .tin { text-align:center; display: table-cell; vertical-align: middle; } </style> <div class=”test”><div class=”tin”>안녕하세요.</div></div> 똑같은 방식을 조금 다르게 구현하면 이렇다.
사람들은, 세상은 이전에 없던 새로운 가치를 추구해. 그런데 그게 또 이전에 완전히 없는 생소한 것은 아니거든. 이전에 있었던 것을 섞거나 뒤집거나 또는 이전에 보지 못했던 시선으로 바라보거나 뭐 그런 거야. 결국 그 이전에 없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개개인의 특성을 살려주는 것에 있다는 생각이 들어. 사람은 다 조금씩 다르잖아. 그러니까 생각도 다르고 보는 관점도 다 다를 것 아니야. 그 개성과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세상이 되면 계속 새로운, 더 나은 것들이 발견되고 개발되지 않을까? 그러니까 한 개인을 창의적인 인간으로 만들려고 하기보다는 모든 사람들이 다 자기가 몰입하고 관심을 쏟는 것에 어느정도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나 자유로운 인식을 만들어주면 다 … 더 보기
애드센스 자동 광고를 사용하지 않다가 최근에 시도해 본 후기를 써보려고 한다. 수익이 증가했는지와 사용 후기, 디자인에 대한 것을 얘기해보려고 한다. 지금까지 자동 광고를 사용하지 않았던 이유는 블로그의 깔끔함을 위해서였다. 그리고 전에는 모바일에서 화면에 떠 있는 메뉴 같은 것을 사용하고 있었던 적이 있는데 그때 자동 광고를 사용하니까 그 메뉴가 이상해져서 사용할 수가 없었다. 그런데 최근 다시 자동 광고를 사용해보니 광고가 생각보다 거슬리지 않았고 블로그 이용에 크게 거슬리거나 불편할 것 같지 않았다. (뭐 수익만 잘 나온다면 다 감수해야지.) 또한 현재는 모바일에서 떠 있는 메뉴도 사용하고 있지 않아서 자동 광고를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다. 디자인 가장 신기했던 점은 광고가 블로그의 디자인? 구조를 흉내내는 듯한 … 더 보기
카페24에서 웹호스팅과 연결된 도메인에 대한 서브 도메인을 설정하고 싶었는데 메뉴를 찾기가 어려웠다. (gryeo.com을 연결해서 사용중이라면 us.gryeo.com과 같은 주소가 서브 도메인이다.) 그래서 서브도메인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해보려고 한다. 서브도메인 메뉴 카페24 관리자 화면에서 하단에 “도메인 네임서버(DNS)관리”를 클릭한다. 원하는 도메인을 클릭하고 “DNS 관리”를 클릭한다. “호스트IP(A 레코드) 관리”를 클릭하고 우측에 “A레코드 추가”를 클릭해서 “도메인/호스트”(원하는 앞부분 주소) “IP주소”(해당 주소로 연결할 또다른 웹호스팅이 있어야겠지? 해당 웹호스팅 업체에서 알아낼 수 있다.)를 입력하면 끝이다. 카페24 IP주소 알아내기 위의 내용은 카페24 계정에 도메인이 연결되어 있고 다른 호스팅에 서브도메인을 연결하는 방법이다. 나는 새로운 카페24 계정을 만들어서 그 도메인 주소를 서브도메인에 연결하고 싶었다. (예를 들면 나는 gryeo.com 계정이 있었는데 새로 카페24 … 더 보기
나는 군생활을 정말 못했다. 가장 후회하는 것은 못하겠다고 생각하면서도 말하지 않고 그냥 무시당하고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면서도 버티기만 한 것. 그냥 그렇게 꾸역꾸역 괴롭고 자존감 없는 매일을, 군생활을 버텼다. 내가 더 행복하기 위해서, 세상에 더 가치있어지기 위해서도 그냥 버티기만 하는 건 답이 아닌 것 같다. 용기와 노력은 주어진 것을 할 때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더 가치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하기 위해서 못하겠다고, 다른 것을 하겠다고 할 용기도 필요하고 그 용기를 낸 이후에 그것을 증명하기 위해서 더 열심히 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게 이 블로그에서만 그런 건지 잘 모르겠는데 특정한 상황에서 상단에 이상한 여백이 생길 때가 있다. 이미지 위의 상단의 여백은 의도적으로 정한 것이 아니다. 위의 코드는 아래와 같다. <div class=”txtoon”><div> <img src=”https://1.bp.blogspot.com/-3ZCaaYayL7g/YCoZkwVV6WI/AAAAAAABKrw/2uFwJh17XDA9rcpZ9ob_1qsFvS0jVPGYwCLcBGAsYHQ/s0/gri2020js_11.gif” alt=”웹툰 캐릭터 표정” class=”tximg” /> <div></div> </div></div> 원래 내가 의도한 것은 위처럼 상단에 여백이 전혀 없게 나와야 한다. 위의 코드는 아래와 같다. <div class=”txtoon”><div> <div><img src=”https://1.bp.blogspot.com/-3ZCaaYayL7g/YCoZkwVV6WI/AAAAAAABKrw/2uFwJh17XDA9rcpZ9ob_1qsFvS0jVPGYwCLcBGAsYHQ/s0/gri2020js_11.gif” alt=”웹툰 캐릭터 표정” class=”tximg” /></div> <div></div> </div></div> 코드를 보면 두껍게 표시한 부분, 즉 이미지를 따로 div로 감싸줬느냐 아니냐의 차이가 있다. 첫번째 내 의도대로 나오지 않은 부분을 크롬의 “페이지 소스 보기”로 봤더니 이미지 코드 옆에 빨간색의 </p> 코드가 생겨 있었다. 이것 때문에 이상한 여백이 … 더 보기
pc 웹브라저에서 볼 때는 우측처럼 깔끔하게 보이던 그림이 모바일 웹브라우저에서 보니 좌측처럼 얼룩덜룩하게 보였다. 예를 들자면 왼쪽의 얼굴이 pc 화면에서는 깨끗하게 보이겠지만 모바일에서는 흐리게 보일 거야. 왼쪽의 얼굴이 모바일 화면에서는 깨끗하게 보이겠지만 pc 화면에서는 흐리게 보일 거야. 알고보니까 pc에서는 이미지를 그대로 보여주지만 모바일은 스마트폰의 해상도가 높으면 작은 이미지를 강제로 두배로 키워서 보여주기 때문이었다. (무조건 그런 것은 아니고 스마트폰의 해상도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다.) 어쨌든 도트 이미지를 각진 느낌을 살린 상태로 두배로 키우니까 모바일에서도 깨끗하게 보였다. 그런데 그러면 pc에서 얼룩덜룩하게 나온다. (pc에서는 큰 이미지를 줄여서 보여주게 되니까) 결국 pc와 모바일에서 상황에 따라 다른 이미지가 표시되게 해야 한다. 그래서 사용한 기능이 … 더 보기
“열심히”라는 것과 “일”이라는 건 막연해. 구체적인 그 행위의 본질이 아니라는 거야. 내가 상추를 뜯는 일을 한다고 치면 밥 먹고 나서 열심히 일해야지! 라고 생각하면 막연해. 밥 먹고 나서 상추를 얼마나 뜯을까? 어디에 담으면 더 오래 보관할 수 있을까? 더 빨리 뜯을 수 있는 도구는 없을까? 칼을 이용해볼까? 이런식으로 더 구체적으로 하려는 것 자체를 생각해야돼. 그리고 “열심히” “일”이라는 것 자체가 부담스러운 단어들이야. “성공”도 마찬가지야. 또한 “나”를 인식하는 것도 불필요해. “나”를 너무 인식하면 쓸때없이 허세부리고 욕심내게 되고 자존심 부리게 되는 것 같아. 그러니까 “일” “성공” “열심히” “나” 이런 것들은 생각하는 것 자체가 낭비야. 그냥 내가 하려는 것을 그냥 묵묵히 하면 되는 거야. … 더 보기
내가 뭘 잘하는지 고민하고 새로운 시도를 고민하고 세상을 분석하고 가치를 정의하고 막 이런 것들도 좋긴 한데 구체적으로 정보나 재미가 있는 글이나 웹툰을 생산하는 것도 꼭 필요해. 그러니까 일, 행동도 그렇고 생각도 벨런스를 맞춰야 한다는 거야. 분석도 중요하지만 본질적인 생산 자체도 계속 생각을 해야 좋은게 나온다는 거야. 평소에 생각도 그래. 이것만 하고 일해야지. 이런 막연한 생각은 안 돼. 꼭 행동하지 않더라도 당장 구체적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를 생각하고 머릿속으로 준비하고 있어야 돼.
아래 내용을 정리하면 보는 사람의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는 거야. 롤 방송은 공부 목적이나 눈뽕 목적으로 보는 사람도 있지만 개그처럼 비웃고 공감하는 포인트에 많은 사람들이 재미를 느낀다는 것이다. 막장은 나쁜놈이 나와서 그놈을 혼내주는 단순하지만 강력한 목적으로 보는 것이다. 기생충은 돈을 많이, 편하게 벌고 싶은, 취업하고 싶은 주인공 집안의 목적이 공감이 갔던 것이다. – 롤 방송을 보면 결국 어떤 방송을 많이 봐? 실력 방송도 많이 볼지 모르지만 결국은 저티어가 개똥싸는 방송이 제일 인기 많아. (그런데 또 너무 못하고 개념 없으면 답답해서 못보긴 하지.) 그러니까 방송하는 사람이 친근해서 놀리기 편하고 어느정도 공감이 가면서도 실수가 많아서 같이 놀릴게 많고 뭘 하려는지 이해도 가서 몰입하기도 … 더 보기
물론 너무 정리를 안 해서 공간이 부족해지고 불편해지고 신경쓰일 정도라면 정리를 해야겠지. 하지만 정리를 하는 것도 시간 낭비일 수 있다. 오히려 그냥 두는 것이 더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에 집중하는데 나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심리적인 부분도 중요하다. 정리가 안 된 것을 보면 너무 거슬리고 신경쓰이면 당장 정리를 하는게 좋겠지. 하지만 깔끔하게 정리하겠다고 너무 한 번에 다 버리게 되면 나중에 후회할 수 있다. (성격에 따라 다르겠지.) 버리고 나서 “나중에 다시 필요할 것 같은데 괜히 버렸나…” 라고 신경을 쓸 거라면, 공간이 부족하지 않을 정도라면 그냥 냅두고 신경을 끄는게 나한테 더 이롭고 효율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정리를 하지 않고 신경을 끄기로 결정하는 … 더 보기
8곳의 곡률을 모두 제각기 설정 가능하다. <div style=”width:200px; height:200px; background-color: green; margin: 20px auto;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 100px 100px 4px 4px;”></div> 간단하게 이렇게 써도 된다. <div style=”width:200px; height:200px; background-color: green; margin: 20px auto; border-radius: 20px”></div> 테두리에 선이 있는 버전 <div style=”width:200px; height:200px; background-color: yellow; border: 2px solid black; margin: 20px auto; border-radius: 20px”></div>
에반게리온은 약간 다르지만 어쨌든 그런식으로 다수의 사람을 죽이거나 해서 세상을 새로 건설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갈아 엎으면 나쁜게 사라지나? 똑같이 반복되지 않을까? 난 결국 지금 이 세상을 계속 유지해서 조금씩이라도 문제를 해결해나가야만 진짜 세상을 변화사킬 수 있다고 생각해. 물론 프로그램을 계속 고쳐서 쓰는 것도 좋지만 완전히 새로 다시 짤수도 있는 거겠지. 너무 버그가 많거나 너무 방대하고 복잡해져서 손을 댈수도 없게 되어버린다면 말이야. 하나의 프로그램이라면 내가 다시 짤수도 있겠지. 그런데 세상을? 내 기준이 정말 옳은거긴 해? 그건 나쁜 세상을 옳게 바꾸는게 아니고 그냥 내 마음에 안 드는 세상을 파괴하고 내가 원하는 세상으로 만들려는 것일 뿐이잖아. 난 그건 병든 생각이라고 생각해.
마약을 하면 중독이 되고 문제가 생긴다고는 하지만 그럼에도 마약이 사라지지 않고 찾는 사람이 있다는 건 그만큼 큰 쾌락을 준다는 거잖아? 그런데 왜 마약을 문제라고 할까?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가 없으니까. 사회가 병드는 것도 문제고 당사자도 자신이 맛본 쾌락이 있는데 그것을 계속 맛보고 싶어하지 않을까? 내가 마약을 해보지 않았다고 해서 내가 정말 행복을 모르는게 아니잖아. 내 나름대로의 기준이 있고 행복이 있는 거잖아. 성공도 비슷한 것 같아. 너무 성공하면, 더 성공할 길, 목표가 사라지면 재미없지 않을까? 성공을 하고 나서의 삶도 행복할 수 없다는 말은 아니야. 새로운 목표를 가지거나 자신의 절제력을 지키면서 살아가는 것을 목표로 삼고 살아갈 수도 있지. 그런데 어쨌든 성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 더 보기
따짐 총량의 법칙 잘 따지지 못해도 괜찮다는 내용, 누군가 잘 따지는 사람이 그사람의 잘못된 점을 따져줄것이라는 내용이다. 좋은 내용인 것 같다. 그런데 결국은 내가 못 따져도 괜찮은 사람이냐가 중요하지 않을까? 안 따지는 사람은 애초에 따질 필요가 없는 건데 못 따지는 사람은 진짜 스트레스 받아. 정말 따지고 싶고 열받고 화나는데도 잘 못 따지면 얼마나 짜증날까? 그런데 걱정할 필요가 없는게 결국은 다 자기한테 맞게 변하는 것 같아. 정말 못견디겠으면 결국은 자신을 변화시켜서라도 잘 따지게 될테고 아니면 그냥 잘 참고 개무시하는 법을 배우겠지. 그리고 안 볼 수 있으면 안 보면 되지. 그런데 안 보고 싶다고 다 안 볼 수가 없으니까 어렵고 힘들고 스트레스가 … 더 보기
돈이 많아야, 성공해야 진짜 행복할 수 있는 거라고? 돈이 없어도 행복하다는 말은 자위일 뿐이라고? 그래 어떤 상황에서든 행복할 수 있다는 말은 억지스러울지도 몰라. 하지만 그것도 이상해. 상위 1%의 위치에 가야만 행복할 수 있는 거야? 그러면 99%는 다 불행해야 하는 거야? 니가 말한 세상에서는 상위에 있는 사람은 상위 1%의 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안간힘을 쓸테고 하위 99%의 사람은 올라가려고 안간힘을 쓸텐데 그러면 누가 행복한 거야? 만약 상위 1%가 행복하다고 쳐. 그러면 결국 99%는 평생 불행하다는 거잖아. 그러니까 99%가 절대 1%가 될 수 없다는게 아니고 99%가 불행하다는 총량이 계속 유지된다는 거야. 질량 보존의 법칙처럼 말이야. 그거 너무 별로같지 않아? 기준을 낮게 잡으면 나는 … 더 보기
난 둘다라고 생각해. 예전에는 외부적인 요인은 언제든 변할 수 있는 거니까 무조건 내 마음, 내가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했었어. 그런데 사실 인간이 살아가면서 절대적인 부분도 있지만 상대적인 부분도 없는게 아니거든. 아무리 내가 스스로 나를 소중하다고 생각해도 현실이 시궁창이면 그 마음을 유지할 수 있을까? 쉽지 않을 거야. 그러니까 내 몸이 편한 것도 중요하고 자존감을 가질 정도의 성취와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것도 필요할 거야. 그런데 너무 그런 외부적인 것에만 얽메이고 집착하면 안 되겠지. 그냥 잘 균형을 맞춰야 해. 전부터 생각했던 건데 “정도”가 핵심인 것 같아. 옳고 그른 것도 그렇고 이 세상의 모든 것이 명확하게 딱 구분지어지는게 없어. 적당한 정도, 기준을 맞추면서 살아가는 수 … 더 보기
나는 순수한? 게이도 있다고 생각해. 누군가는 성적인 쾌락을 위해서, 더 큰 자극을 위해서 동성과 성관계를 맺기도 하겠지. 단지 그 관계이면서 연인이라며 게이를 허용하고 인정해달라는 사람도 어딘가 있긴 있을 거 아니야. 하지만 정말 타고나게 이성에 대해서 관심이 없고 못 사귀겠고 어떤 동성을 너무 사랑할 수도 있는 거잖아. 그런 사람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아? 그사람이 뭘 잘못했길래 사람들에게 욕을 먹어야 하고 자신의 감정을 숨기고 참아야 해? 왜 사랑하지 못해야 하냐고 술도 똑같아. 사실 술 먹어서 사고가 얼마나 많냐 술 때문에 얼마나 많이 다치고 죽겠어. 그런데 술을 막지는 않잖아. 술로 생긴 문제는 개인의 절제력의 문제다. 라면서 말이야. 사실 그런식으로 생각하면 마약, 도박도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