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Links
Email
카테고리
- 그 외, 미분류 (60)
- 웹툰, 그림 (176)
- 고투핼! (9)
- 고투핼! 수정중 (62)
- 단편, 그림, 콘티 등등 (61)
- 자살소년 (49)
- 잡담 (534)
- 철학, 사회 (186)
- 팁, 리뷰 등등 (219)
- 리뷰, 후기, 제품 추천 (69)
- 블로그, 워드프레스, HTML (33)
- 유용한 링크 모음 (11)
- 컴퓨터, 프로그램 (42)
- 포토샵, 그림, 웹툰 팁 (13)
- 힣) 그 외, 팁 (69)
보관함
메타
Author Archives: gryeo
내가 모르는 것이나 내가 못하는 것을 하려고 하지는 말자. 그냥 내가 아는 것을 내가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천천히 해나간다고 생각하자. 그런데 내가 할 수 있으면서, 더 성의를 들일 수 있으면서 대충하지는 말자. 그러니까 너무 부담을 가져서 일을 시작하지도 못하면 무슨 소용이야. 그렇다고 너무 대충 하면 그건 또 무슨 의미야. 하는게 안 하는 것보다는 낫고 안 하는 게 나을 정도로 대충 할거면 안 하는게 낫다? 내가 만든 결과물이 다른 사람한테 어떻게 보일지 내가 어떻게 알겠어. 사람마다 어떻게 받아들이는지가 다르기도 하고 말이야. 적어도 내가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만들지 않아서 썪히고 죽어서는 안 되고 내 스스로도 만족하지 못할 만큼 제대로 만들어내지 못해서도 … 더 보기

특정 카테고리의 글을 메인 화면에서 나오지 않게 하고 싶을 때는 이렇게 하면 된다. 일단 내가 제외시키고 싶은 카테고리의 고유 번호를 알아내야 한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글/카테고리 화면으로 이동한다. 거기서 내가 제외시키고 싶은 카테고리를 클릭한다. 해당 카테고리를 편집하는 화면에서 주소 표시줄에 보면 고유 번호가 보일 것이다. ···category&tag_ID=444&post_type··· 위의 주소에서는 444이 고유 주소이다. 이제 이 카테고리를 메인에서 숨기는 코드를 입력하기 위해서 아래의 위치로 이동한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테마 디자인/테마 편집기 우측에 테마 파일/테마 함수 (functions.php) 를 클릭한다. 거기서 나오는 코드들의 제일 아랫줄에 아래의 코드를 추가해주면 된다. function exclude_category( $query ) { if ( $query->is_home() && $query->is_main_query() ) { $query->set( ‘cat’, ‘-444’ ); } } … 더 보기
우주에서 나는 먼지보다도 못해. 그래서 더욱 나 자신에게 집중하고 나 자신이 의미있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해. 내가 모르고 인지하지 못하는 것은 없는 것과 같아.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애니나 그런 것에 갖히는 건 아닐까? 바깥에서는 초라하니까 나만의 세상에서 의미있어지는 거야. 그런데 그건 너무 현실이 가까이에 있어서, 스스로도 도피인 것을 알기 때문에 순수하게 행복하기 어렵다? (지금 내가 그런듯.) 적당한 정도의 기준점이 필요하겠지. 남들에게도 떳떳하고 내 스스로도 만족하는… – 가장 절대적인 것으로 보면 이 세상은 아무 의미가 없다. 우주에서 지구도 먼지에 불과하니 말이다. 그 우주 바깥엔 뭐가 있을지도 모르고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대중적?으로 보지 않고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절대적인 것이라는 생각이 … 더 보기
미신같은게 막 이뤄지고 저주가 통하고 그러면 신기한 해결책도 있겠지. 그러면 재미있을텐데 현실에선 없어. 그래서 과학을 탐구하는게 아닐까? 오히려 현실을 추구하는게 아니고 더 꿈? 특별하고 재미난 것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생각하는 과학 쪽으로 꿈을 꾸는 아이러니? 결국은 현대의 과학자도 당장 존재하지 않고 모르는 것을 탐구하는 거잖아. 이론, 논리, 근거 이런 것을 더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추구한다는 것이 다를 뿐. 어떻게 보면 연금술사와 다를바가 없다는 거야.
중복될 수도 있는 거야. 중복될까봐 걱정하고 신경쓰면서 전진하지 못하는게 더 문제야. 그리고 글을 쓰고 그것을 잘 정리해서 새로운 글이 될 수도 있는 것이고 웹툰이 될수도 있는 거다. 또한 여기서 썼던 내용이 또 다른 주제에서 비슷하게 쓰여질 수도 있는 것이다. 비슷하게 보여도, 중복처럼 보여도 적용되는 곳에 따라 의미가 많이 달라질 수도 있다.

난 어두컴컴한게 좋다. 너무 밝은 건 뭔가 싫다. 눈이 아프다고 할까? 그래서 이사 오고 나서 한동안은 저녁에 어두워지면 방에 불을 켜지 않고 거실에 불만 켜고 문을 열어놔서 방 안으로 들어오는 빛만으로 지낸 적이 있다. (이게 되게 느낌이 좋았다. 기억은 안 나는데 어릴 때의 어떤 추억이 떠오르는? 아늑하고 친구 집에 놀러온 것 같은 그런 느낌이 들었다.) 그런데 역시 그정도 빛으로는 부족했는지 어두워서 밝은 모니터를 보면 눈이 아프기도 했고 종이에 쓴 글씨가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너무 밝지 않고 방안을 은은하게 밝혀줄 조명을 검색해보기 시작했다. 그런데 내가 원하는 것을 찾는게 생각보다 쉽진 않았다. 조명을 검색하면 키 작은 스탠드 같은 게 나오거나 너무 한쪽으로만 … 더 보기
그림 그리기, 선 긋기 그림 그릴 때 비율이나 크기를 신경쓰면서 끝에 기준선을 잡아주고 이어주는 식으로 그리면 편하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선을 조금씩 연장하는 것을 안 좋다고 생각했었는데 (한 번에 시원하게 슥슥 그어야 옳다?) 곡선을 정확히 내 의도대로 그리려면 곡선의 흐름에 집중하면서 선을 조금씩 여러번 이어서 그리는 방식이 필요한 것 같다. 그림, 선 수정 방법 거의 완성했는데 비율이 안 맞을 때는 리퀴파이를 활용하면 좋다. 선, 그림을 미세하게 수정할 때는 원하는 부분을 선택영역으로 선택한 이후에 키보드로 이동시키면 좋다. (그리고 나서 어긋난 선을 지우개로 지우고 다시 이어준다.) 계속 지우고 새로 그리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1.무조건 지저분하지 않은 칠하기 편하고 넓은 면부터 칠해라. (바깥의 여백부터?) 2.대충 테두리쪽에 붓고 테두리, 경계선부터 칠해라 (면이 크다면(큰 그림) 멀리서 작게 보면서 안쪽만 올가미로 칠한 후에 해라) 추가/ 붓고 칠하는 것보다 그냥 다 브러시로 칠해버리는게 더 빠를 수도 있다. (어설프게 붓고 또 일일이 다 그리듯이 브러시로 칠하는 바보짓을 할수도 있기 때문) 3.직선 툴을 적극 활용해라 (또는 직선 브러시) 4.(나무와 사람 머리같은) 서로 겹치는 부분은 제일 앞에 있는 것부터 칠하는게 좋다 (그러니까 난 배경부터 칠하는 편이지만 뒷배경이 너무 조잡하고 복잡하고 여러가지가 있으면 차라리 앞에 사람부터 칠하는게 낫다) 5.사용할 수 있는 최대한 큰 브러시를 사용해라. (필요하면 작은 브러시도 쓰지만 크게 쓰면 한 … 더 보기
그럴만한게 아닌데 억지로 꾸미려고 한다거나 억지로 재미있게 하려고 하면 안 돼. 짧은 내용을 억지로 늘리려고 하지마. 메세지는 그냥 메세지로 표현하는게 나을 수도 있어. 그 메세지와 관련된 재미있는게 생각나면 만드는 것이지. 억지로 재미나 대중성을 끌어온다고 다 되는게 아니야. 나는 내가 가진 것을 잘 활용하지 못 하는 사람 같아. 많은 것을 가지고 있다는 얘기가 아니고 가진 것을 극대화하는 재주가 없다는 거야. 그쪽으로 머리가 안 돌아가. 그냥 내가 아는 것이나 생각난 것이나 생각하는 것을 잘 표현하는 수밖에 없는 것 같아. 그런데 자꾸 욕심을 부리다가 핵심, 본질을 간과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뭐랄까? 변별력이 없고 극단적이야. 생각나는 것을 다 웹툰, 스토리로 만들어서 재미있게 만들려고 하거나 … 더 보기
맨 위/ (이 내용들이 나중에 어떤 특정한 주제의 글로 이동될 수도 있는 것이다.) 막장이 억지스러운 이유 기생충은 가족들이 몰래 듣다가 한꺼번에 굴러떨어지는 장면 같은 우연한, 특별한 상황은 억지스럽지 않았던 이유는 새로운 과정의 시작이었기 때문이다. (2막?) 새로운 발상이었다랄까? 막장은 문제 해결, 마무리, 결말을 위해서 그런 우연하고 특별한 상황을 이용했을 뿐이다. (억지로 짜맞추듯이.) 그러니까 우연을 발상으로 이용하냐 설득력, 전개, 마무리로 이용하냐의 차이겠지. 설명하는 방법의 차이 기생충에서는 왜 지하실이 있는지 관객도 궁금했지만, 주인공 가족들도 궁금했다. 그래서 설명하는게 억지스럽지 않았다. 하지만 막장에서는 궁금해하지 않는데도 굳이 억지스럽게 얘기를 한다. (만화 캐릭터들이 말 안 해도 될 것을 굳이 나불대듯이. 그건 그것대로 웃기긴 하지.) 그러니까 기생충은 설명으로 … 더 보기
과정 (단락) 어떤 목표를 이루기 위한, 또는 무엇을 하는 과정일 뿐이다. 그 과정의 구체적인 것들을 사람들이 흥미롭게 느끼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만들면 된다. 과정은 결국 아주 크게 볼수도 있고 그것을 쪼개서 볼수도 있다. 그러니까 작가가 보여주려는 의도, 분명한 방향, 목적이나 목표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없으면 평범한 일상을 그냥 보여주는 것과 다르지 않겠지. (관객은 그것을 왜 봐야 하는지 모르겠지.) 대략적인 방향성과 의도가 정해져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과정이라는 것은 방향이자 목표이다. 나와 독자 모두에게 이 내용이 무엇을 하는 내용인지 틀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그것을 정하지 않으면 그리는 나도, 보는 사람도 “이게 뭐하는 내용이지?” 혼란스러울 수 있다.) 그러니까 내용이 재미가 … 더 보기
전에 어디에서 봤는데 가족인가 친구한테 내가 만든 것 좀 봐달라고 했더니 왜 그딴 것만 하냐고, 왜 장르가 고정되어 있냐고 좀 새로운거나 대중적이고 잘나가고 재미있는 것을 하라는 소리를 들었다고 해. 난 그런식으로 말하는 사람들이 너무 짜증나. 그런식이면 니는 왜 서울대 안가고 왜 대기업 취직 안했냐? 왜 구글 같은 기업 못 만들고 그딴 개똥통 회사에서 그 개고생을 하고 있냐? 아니면 백수로 쳐 놀고 있냐? 그렇게 말처럼 쉬우면 다 그 말대로 살아야지. 안 그래? 개인의 특성을 왜 무시해. 그리고 열심히 만든 성의는 왜 무시해. 결국 그딴식으로 생각없이 말하는 사람한테는 그 이후에 조언을 구할 일도 없겠지만 정말 생각이 없는 사람인 것 같아. 누구는 다양한 … 더 보기

[1회] 박혜연 – 넌 그렇게 살지마 | 블라인드 오디션 | 보이스 코리아 2020 이렇게 잘 부르는데 왜 선택받지 못했을까? 목소리는 시원하고 파워풀한데 그 특성을 극대화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닐까? 아무튼 이 영상에 대한 평가를 하려는 건 아니고 이 영상을 보면서 떠오른 나의 생각을 말해보려고 해. 내가 못하는 것을 보완하거나 평균적인 능력치를 맞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나만의 강점을 살려서 나만의 존재이유, 강점을 살리는게 중요한 것 같아. 웹툰도 다 잘할 필요 없어. 학원물이든 연애물이든 무협이든 내가 잘할 수 있는 부분에서 최고가 되면 되는 거야. 어떤 사람은 그림에 능력치를 몰빵해서 타고난 사람도 있을 거야. 그런 사람을 따라하려고 하다가 이도저도 안 되는 것보다는 나만의 강점을 찾아야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