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인기 글 Top 20
- 해외 프리미엄 웹하드 파일 무료 다운 생성기 링크 모음
- 여러 해외 프리미엄 웹하드를 저렴한 가격에 한 번의 결제로 다운받을 수 있다? (deepbrid)
- VR 영상 파일을 PC(2D)로 보는 방법 (팟플레이어)
- 토렌트 관련 유용한 정보, 링크 총정리
- 좋은 자료들(?)이 많은 추천 토렌트 사이트 모음
- JDownloader2 소개, 해외 프리미엄 웹하드 파일의 무료 다운 생성기 링크 다운받는 방법
- 소수의 패턴? 소수에 대해 연구해봤다.
- 국산 토렌트 사이트 방문자수 인기 순위 링크
- 웹툰 사이트 링크 모음
- 사진, 그림, 동영상 AI 업스케일링 프로그램, 사이트 소개, 간단한 설명, 비교, 리뷰, 후기
- 동영상의 소리를 구글 번역기에 입력하는 방법 (사운드 스테레오 믹스, 크롬)
- 동물원이 사라져야 하는 이유
- 웃긴 유머, 커뮤니티 사이트 링크 모음 총정리
- 웹툰, 출판물에서 자유롭게 사용 가능한 무료 폰트 모음
- 윈도우10 cpu잡아먹는 “microsoft 소프트웨어 보호 플랫폼…
- 와콤 타블렛, 포토샵CC, 윈도우10 업데이트 이후 오류 문제 해결방법
- 자막 제작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 총정리 (음성 추출, 번역 활용 방법, JAutosub,…
- 좋은 자료(?)가 많은 추천 웹하드 사이트 모음
- IP(아이피) 우회 프로그램 강력 추천 SafeVisit
- 카페24에서 서브 도메인 설정하기
카테고리
- 0 잡다한 잡담 (285)
- 1 철학, 정치, 시사평론 (26)
- 2 팁, 리뷰, 링크모음 (172)
- 리뷰, 사용후기 (34)
- 링크 모음 (23)
- 블로그, 워드프레스, HTML (33)
- 컴퓨터, 프로그램 (37)
- 포토샵, 그림, 웹툰 관련 (14)
- 힣) 그 외, 팁 (38)
- 3 창작 (88)
- 00 변태주의보 (텍스툰) (3)
- 01 단편 모음 (텍스툰) (1)
- 97 과거 콘티 등등 모음 (42)
- 98 자살소년 시즌3 등등 (중단) (23)
- 99 자살소년 시즌1, 2 (완결) (24)
- 미분류 (15)
태그
us 게이 고칠것 그림 꾸준관리 나를정의 논쟁 대인관계 변별력 변태주의보 성갈등 성공론 소재 스토리론 시도 시도결과 심리론 아이돌 인생론 일기 자살 정치 차별 창작론 채식 최적화 텍스툰 핵심 행복론 힣20200627다운 힣20200627소질 힣20200628테크닉 힣20200629글쓰기 힣20200701성공행복 힣20200703나의성공 힣20200703버리기 힣20200713나의방향 힣20200717재미 힣20200805인생론 힣20200817주도적 힣20200922변별력 힣20201002차별 힣20201215자기 힣20210304외모 힣20210414강요보관함
이메일 주소
메타
Tag Archives: 힣20200717재미
영화 “더 플랫폼”을 봤다. 사회를 흥미롭고 좁은 공간에 묘사해놓은 것이 멋있게 보였다. 그래서 나도 저런 영화를 만들 수 있을까?를 생각해봤다. 그것은 막연하다. 그렇게 생각해서는 결코 좋은 작품이 나올 수 없을 것이다. 내 눈앞에 보이는 현실과 그것을 바라보는 나의 시선, 시각 그리고 거기서 내가 말하고 싶은 것에 집중해야만 한다. 결국 “더 플랫폼”도 그 스토리를 쓴 사람이 본 세상에 대한 이야기일 뿐이라는 것이다. 나는 내가 바라보는 시선에 집중해야 한다. 거기서 말하고 싶은 것을 찾아내야만 하고 그것을 잘 전달하기 위한 방식을 고민하면 되는 것이다. 그래야만 정말 현실성있고, 진정성있고, 획기적인 나만의 정체성이 있는 스토리가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스토리의 결말, 완결을 미리 생각해놓으면 분명히 좋다. 하지만 너무 결말에만 치중된 스토리가 나올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시작에 모든 힘을 끌어모은 드라마가 결말이 너무 힘없이 끝나는 경우는 문제가 되겠지만 그렇다고 너무 결말에 힘을 주다가 너무 평범한 시작으로 사람들의 관심도 못 받는 것도 문제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결말도 물론 중요하지만 시작의 흥미로움이 더 우선 핵심적으로 생각해야 한다랄까?) 그리고 결말을 어느정도 생각해놓는 것은 좋지만 꼭 모든 경우가 그럴 필요는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개그, 병맛 장르가 그런 것 같다. 마지막 결말을 생각 안 해서 수습을 해야 할 때도 그냥 어이없는 병맛으로 작은 웃음을 주면서 끝내버리는게 오히려 더 그 장르에 어울릴 수도 있는 것이다. … 더 보기
난 고민을 하곤 했었다. 어떻게 하면 내가 지금 짜놓은 내용을 더 안정적으로 재미있게 만들 수 있을까? 어떤 규칙이나 구조가 있는 건 아닐까? 그 고민의 결론은 “내가 가장 재미있게 느끼는 것이 정답”이라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내가 자살과 관련된 개그 웹툰을 만들었다. 그것을 더 대중적이고 더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는 틀이나 설정을 고민한다고 생각해보자. 그 고민의 답은 결국 최종적으로는 “더 재미있어야 한다”라는 원론적인 결론이 나올 뿐이다. 그런데 그 막연해보이는 답을 가장 구체적이고 직관적으로 만드는 최종 결론이 바로 “내가 재미있게 느끼는 내용”이다. 조금 설명이 어려운데, 이런 것이다. 주인공이 자살을 하는데 계속 실패한다는 내용을 기본으로 두고 그것을 더 살리기 위한 설정이나 소재들을 고민한다. 초능력을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