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인기 글 Top 10
- 웹툰 사이트 링크 모음
- 윈도우10 cpu잡아먹는 “microsoft 소프트웨어 보호 플랫폼 서비스” 확실한 해결 방법!
- 국산 웹하드 사이트 방문자 순위 총정리
- 카페24에서 서브 도메인 설정하기
- VR 영상 파일을 PC(2D)로 보는 방법 (팟플레이어)
- JDownloader2 소개, 해외 프리미엄 웹하드 파일의 무료 다운 생성기 링크 다운받는 방법
- 여러 해외 프리미엄 웹하드를 저렴한 가격에 한 번의 결제로 다운받을 수 있다? (deepbrid)
- 김민아 성희롱 발언, 나는 전혀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 날씨 앱, 사이트의 정확도, 편의성을 비교해봤다.
- 나만의 해외 영상(?) 음성 인식, 번역해서 자막 만드는 꿀팁
카테고리
- 그 외, 미분류 (59)
- 웹툰, 그림 (122)
- 고투핼! (17)
- 단편, 그림, 콘티, 미완성 등등 (61)
- 자살소년 (49)
- 잡담 (544)
- 철학, 사회 (162)
- 팁, 리뷰 등등 (266)
- 리뷰, 후기, 제품 추천 (74)
- 블로그, 워드프레스, HTML (37)
- 유용한 링크 모음 (26)
- 컴퓨터, 프로그램 (59)
- 포토샵, 그림, 웹툰 팁 (15)
- 힣) 그 외, 팁 (79)
보관함
이메일 주소
메타
Tag Archives: 힣20200627소질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뭐 한국인이, 동양인이 더 똑똑하고 뛰어나다는 얘기를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한국이고 일본이고 그 어느나라에서든 천재들은 나온다. 결국 인종이나 국가는 중요한게 아니라는 거다. 스포츠, 음악, 미술 등등 다 그 나라의 시장의 크기가 달라서 인재를 발견할 가능성이나 인재가 모이게 되는 환경이 다를 뿐이지 결국은 어느나라에서든 천재는 나오고 있다. 그러니까 어떤 나라가 축구를 잘하고 어떤 나라가 음악 수준이 높고 이런 건 중요한 요소가 아니라는 거다. (단지 시장의 크기 문제라는 것이다. 물론 그것 때문에 천재가 발견되고 발견되지 못하는 차이가 생기니까 핵심인 것도 맞다. 어쨌든 나라나 인종의 차이는 아니라는 것이다.) 핵심은 어디서든 나오는 소수의 천재를 발견하고 천재성을 발휘할 수 있는 사회인지 … 더 보기
물론 그게 전부는 아니겠지만… 그냥 그 분야를 좋아한다기보다는 구체적으로 만들거나 하는 것을 즐겨야 하는 것 같아. 그러니까 막연하게 좋아한다는 것 자체만으로는 안 된다는 거야. 그리고 시기도 중요할 거야. 내가 힘이 세고 싸움을 잘하면 요즘엔 이종격투기를 하면 되지만 과거엔 제대로 발휘할 곳이 없을 수도 있는 것처럼 (깡패하면 되나?) 내가 빛날 수 있는 장소를 찾는 것도 내가 해야 할 노력 중에 하나지. 어쨌든 좋아하면 잘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해 그만큼 좋아하고 즐긴다는 건 아주 강력한 소질 중에 하나야 꼭 가장 잘하는 방향으로만 길이 있는 것도 아니야.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이 게임을 못해도 재미있게 하는 모습을 유튜브에 올려서 성공할 수도 있는거니까. 또 평론가나 리뷰어로 … 더 보기
사람들은, 세상은 이전에 없던 새로운 가치를 추구해. 그런데 그게 또 이전에 완전히 없는 생소한 것은 아니거든. 이전에 있었던 것을 섞거나 뒤집거나 또는 이전에 보지 못했던 시선으로 바라보거나 뭐 그런 거야. 결국 그 이전에 없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개개인의 특성을 살려주는 것에 있다는 생각이 들어. 사람은 다 조금씩 다르잖아. 그러니까 생각도 다르고 보는 관점도 다 다를 것 아니야. 그 개성과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세상이 되면 계속 새로운, 더 나은 것들이 발견되고 개발되지 않을까? 그러니까 한 개인을 창의적인 인간으로 만들려고 하기보다는 모든 사람들이 다 자기가 몰입하고 관심을 쏟는 것에 어느정도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나 자유로운 인식을 만들어주면 다 … 더 보기
전에 어디에서 봤는데 가족인가 친구한테 내가 만든 것 좀 봐달라고 했더니 왜 그딴 것만 하냐고, 왜 장르가 고정되어 있냐고 좀 새로운거나 대중적이고 잘나가고 재미있는 것을 하라는 소리를 들었다고 해. 난 그런식으로 말하는 사람들이 너무 짜증나. 그런식이면 니는 왜 서울대 안가고 왜 대기업 취직 안했냐? 왜 구글 같은 기업 못 만들고 그딴 개똥통 회사에서 그 개고생을 하고 있냐? 아니면 백수로 쳐 놀고 있냐? 그렇게 말처럼 쉬우면 다 그 말대로 살아야지. 안 그래? 개인의 특성을 왜 무시해. 그리고 열심히 만든 성의는 왜 무시해. 결국 그딴식으로 생각없이 말하는 사람한테는 그 이후에 조언을 구할 일도 없겠지만 정말 생각이 없는 사람인 것 같아. 누구는 다양한 … 더 보기
[1회] 박혜연 – 넌 그렇게 살지마 | 블라인드 오디션 | 보이스 코리아 2020 이렇게 잘 부르는데 왜 선택받지 못했을까? 목소리는 시원하고 파워풀한데 그 특성을 극대화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닐까? 아무튼 이 영상에 대한 평가를 하려는 건 아니고 이 영상을 보면서 떠오른 나의 생각을 말해보려고 해. 내가 못하는 것을 보완하거나 평균적인 능력치를 맞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나만의 강점을 살려서 나만의 존재이유, 강점을 살리는게 중요한 것 같아. 웹툰도 다 잘할 필요 없어. 학원물이든 연애물이든 무협이든 내가 잘할 수 있는 부분에서 최고가 되면 되는 거야. 어떤 사람은 그림에 능력치를 몰빵해서 타고난 사람도 있을 거야. 그런 사람을 따라하려고 하다가 이도저도 안 되는 것보다는 나만의 강점을 찾아야 … 더 보기
[진짜TV] 닭발 먹다 불러본 조남지대의 ‘거기 지금 어디야’ COVER!!! 위의 영상을 보다가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나는 이 사람들을 잘 모르지만 각각의 캐릭터들이 있겠지?” “이 사람들이 유튜브에서 더 성공하려면 사람들이 보고 싶은 것을 잘 파악해서 각 캐릭터에 맞게 그것을 해소시켜주면 될텐데” “그런데···.” “나는 그렇게 할 수 있나?” 사실 시청자들도 보고싶은 것은 있겠지만 그것을 만들었을 때 성공할지는 시청자들도 모르거든. 결국은 시청자들도 스스로 모르는 것을 기획자는 미리 알아차려서 잘 만들어내기까지 해야 한다는 거야. 그건 정말 어려운 것이고 사실 타고난 센스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해. 그러니까 아무나 할 거 없다고 치킨집 열어서 성공할 수 있냐는 거야. 치킨집도 잘하는 사람이 잘하는 것이고 못하는 사람은 못해. … 더 보기
오랜 기간 동안 메모했던 수능 시험, 노력, 사람의 특성의 다양성에 대한 나의 생각들을 정리해봤다. 수능의 문제점 존리| 공부 못하는 아이는 다른 데 관심이 많기 때문에 그래요 출처 : ′동학 개미 운동′의 시초 존봉준(?) 아이에게 필요한 건 주식? | 유 퀴즈 온 더 블럭 YOU QUIZ ON THE BLOCK EP.55 사교육에 매년 수십조가 쓰인다고 한다. 진짜 쓸모있는 교육이면 그 이상이 들어가도 상관 없겠지. 하지만 좋은 회사에 취직하기 위한 좋은 대학에 들어가기 위한 수능 성적을 받기 위한 사교육… 도구를 위한 도구를 위한 도구일 뿐인데 그렇게 많은 투자를 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큰 낭비라는 거야. 아이의 성공과 행복을 위해서 아이를 공부시키고 학원을 다니게 하잖아. … 더 보기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일이든 취미든 재미있고 즐거울 수 있다. 하지만 즐거워도 해야 하고, 하기 싫고 힘들고 부담스러워도 해야만 하는게 일이다. 결국 일은 무조건 일정한 분량과 퀄리티, 성과를 해내야만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하고 싶을 때만, 하고 싶은 정도만 하면 되는 취미와는 다르다. 일이 재미있고 소질에 맞다는 건 일을 더 많이, 오래 할 수 있게 해주는 자양강장제 같은 것이다. 그러니까 그 행위를 내가 재미있어하고 즐긴다는 것은 그것이 일이 됐을 때 더 잘하게 될 가능성을 높여주는 소질이나 재능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것이 상당히 큰 재능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좋아하고 재미있는 것을 일로 삼는게 좋다고 생각한다. 어쨌든 일은 잘해야 하는 것은 분명하고 당연하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