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mdg7

생각이나 입장이나 견해가 다른게 아니다. 조국은 만만하면서도 기득권인 것처럼 만들어서 공격하며 스스로를 기득권, 권력과 맞서는 정의로운 존재로 코스프레를 했던 것이다. 하지만 진짜 기득권 진짜 권력에게는 찍소리도 못하는 비겁한 자들… 나도 대놓고 기득권과 맞설 자신 없다. 하지만 만만하고 약한 사람을 때리면서 정의로운 척을 하진 않는다. 위선자들…

Posted in 잡담 | Tagged | Leave a comment

식용 돼지는 따로 있나? 그냥 몸집 크고 잘 먹고 병 잘 안 걸리고 살 많고 맛있으면 그게 식용 돼지인거다. 개도 마찬가지다. 식용이라고 정의된 것은 그저 식용 종으로 적합하다는 뜻이지. 식용 개가 아니니까 먹어도 죄책감을 안 가져도 되는 것이 아니라는 거다. 다시 말해서 크기가 작거나 살이 적은 개는 식용에 적합하지 않을 뿐. 어차피 다 똑같은 개라는 거다.

Posted in 잡담 | Tagged , | Leave a comment

현재 우리는 키가 큰게 더 우월한 유전자라고 생각하잖아? 그런데 그건 사실 착각이라는 거야. 상황에 따라 키가 작은게 더 살아가거나 생존에 유리할 때가 있는 것처럼, 그 이외에 모든 요소들도 마찬가지라는 거야. 모든 생명은 자연선택에 의해서 특정한 방향으로 생존했을 뿐이야. 더 나은 유전자, 못한 유전자는 없다는 거야. 그러니까 상황상의 상대적인 장단점이 있는 것이지, 절대적으로 내가 열등하다거나 우월하다는 고정관념, 착각에서 벗어나자는 거야.

Posted in 잡담 | Tagged , , | Leave a comment

수능 시험의 내용이 너무 실생활과는 동떨어졌다고 생각해. 그냥 등수를 나누기 위한 수단에 불과해졌다는 거야. 그것을 사람들은 어쨌든 노력의 결실이라고 말하지만, 내가 보기엔 쓸때없는 것에 시간과 에너지와 노력을 기울인 거라고 생각해. 낭비라는 거야. 그런데 재미있는 건 나의 이런 생각이 이상적인 것이고, 수능이 현실적인 거라는 거야. 사실 거꾸로여야 하지 않을까? 수능이라는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등수를 나눠서 노력과 능력을 평가하는게 비정상이고, 시간을 쓸때없는 것에 낭비하지 말자는게 정상적이고 효율적이고 현실적인 생각 아닌가? 뭐 그렇다고 내가 대단한 해결책이나 대안을 가지고 있는 건 아니야. 그냥 대학에 들어가긴 쉽고 나오긴 어렵게 한다거나 수능을 거의 없애다시피 하고 해당 대학이나 회사에서 더 직접적인 능력과 지식들을 테스트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해. 그러니까 … 더 보기

Posted in 잡담 | Tagged , | Leave a comment

나 중학생 때 전교 1등하는 애한테 선생님께서 넌 공부 왜 하냐? 꿈이 뭐길래 그렇게 열심히 하냐? 하고 물으셨다. 의사, 판사, 사자 붙은 직업 나올 줄 알았는데 그 학생이 말하길, “전 아직 꿈이 없습니다. 단지 제가 나중에 꿈이 생겼을 때 공부로 발목 잡힐까봐, 공부 때문에 꿈에 도전하지 못할까봐 공부합니다.”라고 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저게 정답 같다. 꿈이 없어서 공부 안한다고? 그냥 다 핑계다. 나도 그렇게 놔버린 과목(영어) 땜에 지금 고생하는데 가끔 쟤 말이 떠오른다. 얼굴도 기억 안나는데 저 말만은 생생함. 난 위의 말 같은거 되게 싫어한다. 부모들이 아이들 공부시키려고 만들어낸 멋진 일화나 내용 중에 하나 같아서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다. 정말 내 … 더 보기

Posted in 철학, 사회 | Tagged | Leave a comment

인간들은 다른 지적 생명체를 찾고 있다. 그것은 새로운 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수준 높은 과학기술이나 철학, 관점을 접하고 싶어서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난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그 다른 지적 생명체가 우리와는 소통할 수 없는 상태인 건 아닐까? 그들이 너무 거대해서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가 먼지만한 건 아닐까? 또는 그들의 1초가 우리에게는 100년일 수도 있지 않을까? 그러면 우리가 그들의 존재를 알아도 그들과 소통할 수가 없는 것이다. 어찌어찌 그들에에 우리 존재를 알린다고 해도 그들에게 한마디 질문을 하고 답변을 받으려면 수천년, 수만년이 필요하다. 결국 인간의 수명으로는 수백, 수천 세대를 거쳐야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지금 우주를 연구하는 과학자들도 똑같은 감정을 느끼고 있지 않을까? 우주가 … 더 보기

Posted in 철학, 사회 | Tagged , , | Leave a comment

나는 현재 대한민국의 부동산과 비트코인 열풍이 똑같은 거라고 생각해. 비트코인 규제 한다고 그것도 사다리 걷어차는 거라고 난리 쳤었잖아? 그런데 어떻게 됐어? 폭락했지. 결국 부동산도 똑같은 결과가 나올거라고 봐. 그 시기가 다를 뿐이지. 그리고 도박이랑 똑같다고 봐. 부동산이 계속 오르는게 정상적이고 상식적인 거라고 생각해? (결국 다수가 빚을 내서 집을 사고, 그런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집값은 계속 오르고… 그게 영원히 유지될 수 있을까? 언젠가는 어떤식으로든 터져서 나라 전체가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이고, 무리해서 집을 산 사람들도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될 거야. 정부에서 적절하게 대응하고 규제를 하는 건 너무 당연한 거야. 그걸 사다리를 걷어차는 거라고 생각해선 안 돼.) 이건 도박이라고 할수도 있고 아주 … 더 보기

Posted in 철학, 사회 | Tagged , , | Leave a comment

돈이 많다고 다 행복한 건 아니라는 말은 돈이 없는 사람들의 자기 위로하는 말이라는 생각이 들어. 물론 돈이 많다고 다 행복한 건 아니겠지. 돈 많아도 몸이 아프거나 힘든 일이 있으면 행복하지 못할 거야. 돈 많은 사람 중에 자살하는 사람도 있고 말이야. 하지만 돈은 너무나도 보편적이고 너무나도 강력한 가치야. 돈이 많으면 돈 벌려고 고생하지 않아도 되고, 대다수의 사람들의 가장 보편적인 걱정이 바로 돈 걱정이잖아. 그걸 안 해도 되는 것만으로도 정말 대단한 가치인 거야. 누군가는 돈이 없이 살아도 행복할 수 있다고 하는데, 나는 힘든 일을 하는게 정말 싫거든… 배고픈 것도 싫어… 일을 안 하고 편히 먹고 살려면 돈이 필요하잖아. 그러니까 돈이 많으면 많을수록 … 더 보기

Posted in 철학, 사회 | Tagged , , , ,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