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내가 만든 자막 파일을 캡처해서 만들어본 움짤.
흰색은 캡컷피씨로 추출한 것이고 녹색은 클로바노트로 추출한 것이다.
나는 캡컷과 클로바노트가 음성 인식 기능(자동 캡션, Speech To Text)이 뛰어난 편이고 그중에서도 캡컷이 클로바노트보다 조금 더 낫다고 생각한다.
(위의 결과물에서도 캡컷이 더 많이 알아들었고 줄바꿈도 자연스럽다.)
안타깝게도 캡컷은 무료가 아니다.
음성 인식 변환을 해서 자막 파일로 내보내기를 하려면 유료 결제를 해야 한다.
그래도 한달 12,600원이고 한달만 결제 가능해서 크게 부담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클로바노트의 가장 큰 단점은 한 번에 너무 많은 내용을 추출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위의 경우도 클로바노트로 캡처된 부분이 30초 이상 떠있다.
(대화가 끊어지지 않고 계속 이어지면 화면을 꽉 채우면서 한 자막이 10분 이상 떠있는 경우도 있다.)
어쨌든 클로바노트든 캡컷이든 완벽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나는 두개를 같이 표시해서 상호보완하도록 하고 있다.
음성 인식해서 자막 파일로 만드는 방법
클로바노트 사용 방법은 간단하기도 하고 구글에서 검색하면 잘 나오기 때문에 따로 쓰지 않을 생각이다.
캡컷은 아래처럼 하면 된다.
영상 파일, 음성 파일 상관 없이 가져와서 타임라인에 올려놓고 텍스트 → 자동캡션 → 언어 선택 → 생성
완료되는데 시간은 어느정도 걸린다. (클로바노트보다는 긴 편)
.srt 파일로 만들려면 메뉴 → 파일 → 내보내기
밑에 캡션 체크해서 내보내면 된다.
번역하기
일단 Subtitle Edit는 자막을 제작하거나 편집하는 프로그램으로 설치해두면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
나는 파파고 번역의 표현이 더 자연스러워서 (파파고) 페이지 번역 기능 + (Subtitle Edit) 복사/붙여넣기를 통해 자동 번역 기능을 활용해서 번역을 하고 있다.
(페이지 번역 기능은 방법은 어렵지 않은데 워드프레스 블로그 같은 텍스트를 올릴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최근에 파파고의 페이지 번역 기능을 중지한다고 하던데 네이버 브라우저인 웨일을 사용하면 이전처럼 페이지 번역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네이버 웨일이 너무 느리다면 내 컴퓨터에 설치된 앱, 프로그램 목록 중에 “AhnLab Safe Transaction”가 있는지 확인해보자.
“AhnLab Safe Transaction”를 지우니까 웨일이 정말 빨라졌다.
나는 구라제거기를 이용해서 다른 은행 관련 프로그램도 다 지웠다.
퀄리티는 약간 아쉽지만 간편하게 Subtitle Edit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글 자동 번역 기능을 사용해도 된다.
구글 자동 번역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은 이렇다.
외국어 자막 파일을 열고 번역 → 자동 번역
구글 V1 → 언어 선택 → 한국어 선택 → 번역
(다른 API는 다 제대로 안 되거나 유료인 것 같다.)
번역이 완료되면 확인 누르고 파일 → 저장 (Ctrl+s)하면 뒤에 .ko가 붙은 파일로 저장된다
보완, 결합하기
클로바노트로 추출했을 때 한 화면에 여러줄이 나오는 경우의 해결책으로 나는 아래처럼 한다.
Subtitle Edit로 자막 파일을 열어서 도구 → 긴 줄 분할하기
줄바꿈에서 분할 체크 → 확인
이렇게 하면 일률적으로 자막을 분할하는 것이기 때문에 싱크가 정확히 맞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수작업으로 싱크를 맞추며 분할하는 것은 시간 낭비라고 생각한다.
나는 현실적으로 이게 가장 만족스러운 방법이 아닐까 싶다.
시청하기
만약 나처럼 캡컷과 클로바노트로 추출해서 두개의 자막 파일을 가지고 있다면 하나를 열고 다른 파일은 팟플레이어 화면의 윗부분에 드래그해서 “두 번째 자막으로 열기”를 하면 위와 아래에 두개의 자막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나는 영 보기 불편해서 처음 보여줬던 것처럼 두 자막을 한꺼번에 보여주고 색으로 구분하는 방법을 쓰고 있다.
그렇게 만드는 방법은 아래처럼 하면 된다.
처음의 움짤처럼 두 자막의 색을 다르게 해서 보고 싶다면 Subtitle Edit에서 하나의 자막 파일을 열어서 편집 → 모두 선택 (Ctrl+A)
마우스 오른쪽 클릭 → 색상 원하는 색을 선택하고 파일을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두개의 자막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서 하나의 내용을 전부 복사해서 다른 파일의 맨 위나 아래에 붙여넣어주고 저장하면 두개의 자막이 같이 표시된다.